
지금까지의 모든 신년계획을 떠올려보면, 그나마 2021년 신년계획은 소박했던 것이 아니었나 싶은데. 그나마도 성공한 것이 하나도 없음. 모두 실패. 바쁘게 열심히 살았으나 실속은 없었음. 목표설정의 기준과 중요함을 강의하면서도 내 목표는 늘 엉망진창. 그래도 수고했다, 2021년. 1. 이직 → 성공 시, 새 차 구매! 실패. 이번에는 성공이라고 너무 확신하고 있었는데. 뭐, 계속 도전하는 수밖에. 차는 사야할 것 같은데 명분이 없네… 새차 말고 헌차 사야겠음. 2. 논문 500% 달성(SCI급 논문 2편 포함) 대실패. 그닥 높게 잡은 것도 아닌데. 올해 이어서 다시!! 3. 주 3회 이상 실외 5km 달리기 역시 실패. 포부는 크게 가져야지. 이제는 운동이 뭔가 싶은 정도. 올해 이어서 다시! 그래도..
#. 문제 행동 늘 그래왔듯 방학임에도 불구하고 죽자고 일하는 중이다. 매년 올해가 그 어느때보다 심각하다 하면서 매년 갱신 중이다. 하지만 일을 하다보면 그동안 몰랐던 것들을 배우는 재미도 있고, 보람도 있고, 돈도 벌린다. 미친듯이 일을 하면서 나의 경험을 회피함에따라 쓸데없이 자기통제를 잃은 채 꼴사납게 구는 걸 방지할 수 있다. 대신 진짜 경험을 회피하는 동안 내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가짜 경험을 만들어 판타지를 끌어안고 사느라 새로운 관계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까지 나의 부적응 행동의 악순환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으나 내가 이렇게 악순환을 이어갈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아주지 못했다. 상담을 하면서 깨달은 점은, 누구나 문제행동 이면에는 그럴만한 타당..
30대를 온전히 커리어를 쌓는 데 투자했다. 물론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지만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은 편이다. 지금은 더이상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불안해하지 않고, 무언가를 더 이루지못해 안달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제서야 그간 놓친 것들에 대해서 애도할 여유가 생겼다는 의미다. 세살 버릇 여든 간다고, 그새를 못참고 벌써부터 여름방학을 특강으로 가득 채워놓았지만, 내가 감정적인 상태를 회피하려는 시도임을 분명히 안다. 이전에는 감정적 접촉에 대한 무의식적 회피반응이었다면,지금은 오랜 습관같은, 자동적인 대처반응으로써 조금만 노력하면 의식적으로 알아차리고 조절할 수 있다. 정보를 교환하기 위함이 아니라면 누구에게도 먼저 연락하는 일 없고, 상담이나 수업 장면이 아닌 이상 그 누구에게도 질문하지 않으며,물건..

매년 신년계획을 세우고 늘 거의 지키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획 세우는 것 자체를 즐기는 사람으로서 올해도 계획을 세워본다. 슬슬 생각하는 게 귀찮아서 간단명료하게. 1. 이직 → 성공 시, 새 차 구매! 2. 논문 500% 달성(SCI급 논문 2편 포함) 3. 주 3회 이상 실외 5km 달리기 4. 하루에 물 2L 이상 마시기 5. 약속시간 최소 10분 전 도착하기 20대의 삶의 방향은 "소속감 찾기"였고, 30대의 삶의 방향은 "물불 가리지 않고 배우기"였다면, 40대의 삶의 방향은 "내 가치에 부합하는 선택하기"이다. 반갑다, 2021년.
- Total
- Today
- Yesterday
- 염쟁이 유씨
-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 2006년 정리
- 신년계획
- 라울 뒤피
- 클린튼 이스트우드
- 숏버스
- 이아고와 오델로
- 빠진
- 아버지의 깃발
- 아람미술관
- 몽마르뜨
-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 노트르담 성담
-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 모딜리아니
- 잔느 에뷔테른
- 존 카메론 미첼
- 영화
- 연극
- 제주도
- 미스 리틀 선샤인
- 아크람 칸
- 오래된 정원
- 신성한 괴물들
- 실비 길렘
- 바벨
- 김녕해수욕장
- 퐁네프 다리
- 조너선 사프란 포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