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절정(絶頂)
이육사
매운 계절(季節)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 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고등학교 때 문학선생님이 수업을 시작할 때 시를 읽어주시곤 했다.
친구들끼리는 문학선생님이 참 낯간지럽고 오글거린다고 키득댔지만
사실 속으로는 그 시간을 기다렸다.
복잡하게 생각하는 것이 딱 질색이라 수학 문제만 풀곤하던 아이가
그 문학선생님 덕분에 한동안 시만 읽었다.
혹시나 친구들이 시 읽는다고 수근거릴까봐 언어영역 문제집 푸는 걸로 가장하곤 했다.
덕분에 언어영역 문제집 엄청 풀었다.
당시 가장 좋아하던 시가 '절정'이다.
짧아서 외우기도 쉽고,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라는 표현이 참 좋았다.
하필 논문 쓰는 시기에
등 떠밀린 꼴로 교육분석을 시작했는데
이것 참...
속 시끄럽다.
난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어서, 다양한 가능성이 싫어서
혼란 속에서 규칙을 찾아내는 수학을 좋아했다.
혼란과 무질서의 기간이 곧 지나길 바란다.
어떻게든 규칙과 패턴을 찾아내서 안정을 되찾고 싶다.
그런데 한동안은 안정을 찾기 힘들 것 같다.
미루고 미루고 최선을 다해 미뤄서
늘 나를 벼량 끝으로 내몰아 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나를 한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는,
서릿발 칼날진 고원에 서게 한 것이 다이다.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다가도
이러저런 생각하지 않기로 한다.
내 아무리 생각한들 속 시끄럽긴 매한가지다.
갑자기 성함도 잊어버린 문학선생님이 읽어주시던 '절정'이 생각났다.
'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 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빠진
- 조너선 사프란 포어
- 2006년 정리
- 아버지의 깃발
- 아크람 칸
- 존 카메론 미첼
- 제주도
- 바벨
- 잔느 에뷔테른
- 이아고와 오델로
- 염쟁이 유씨
- 아람미술관
-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 퐁네프 다리
- 클린튼 이스트우드
- 김녕해수욕장
- 오래된 정원
- 연극
- 영화
- 미스 리틀 선샤인
- 몽마르뜨
- 숏버스
- 신년계획
- 모딜리아니
- 신성한 괴물들
- 실비 길렘
-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 라울 뒤피
-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 노트르담 성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